작곡/작곡 프로그래밍 내용


1. 메이저 스케일(장음계, Major Scale)

가. 3번음과 4번음이 반음, 6번음과 7번음이 반음 

나. 1번음을 기준음(Key Note), 7번음을 이끔음(Leading Note)이라고 한다.

다. 이끔음(Leading Note)은 기준음(Key Note)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2. 마이너 스케일(단음계, Minor Scale)

가. 임시표(#, b)를 사용하지 않은 자연 단음계(Natural Minor Scale)

나. 2번음과 3번음이 반음, 5번음과 6번음이 반음

다. 이끔음이 없어 진행감이 부족, 단조로운 느낌을 줌








3. 화성 단음계(Harmonic Minor Scale)

가. 자연단음계의 7번째 음을 반음 올려 인위적으로 이끔음을 만들어냄.

나. 음악의 진행감이 생김.

다. 많은 클래식 곡 중 단음계 기반 곡은 화성단음계를 기반으로 한 것이 많다.

라. 그러나 연주 음악에는 큰 지장이 없지만 목소리로 노래하게 될 때 상행하는 멜로디 라인의

     경우 정확한 음높이를 노래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






4. 가락 단음계(Melodic Minor Scale)

가. 6번째 음도 반음 올려 Voice를 위한 멜로디 라인 구성 상으로 문제가 없는 단음계

나. 하행시에는 자연단음계를 사용할 수 있어 자연단음계의 성격도 살릴 수 있다.

다. 하행 시 자연단음계를 사용하는 관점은 대중음악 관점에서는 헷갈릴 수 있다. 따라서

상,하행을 모두 가락단음계로 통일하는 것을 Jazz Minor Scale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