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 업 : 스위치가 떼어 있다면 회로는 항상 높은 전위인 전원(Vcc)에 걸려 있음.
풀다운 : 스위치가 떼어 있다면 회로는 항상 낯은 전위인 접지(GND)에 걸려 있음.
규칙
1 : 전류는 항상 전위가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1) Vcc -> GND
2) Vcc -> 회로
2) 회로 -> GND
<그림으로 나타낸 전위차>
<전류는 항상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2. Vcc -> 회로 순으로 전류가 흘러야 아두이노는 전류가 제대로 흐른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1) Vcc -> GND : 회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 LOW(0)
2) Vcc -> 회로 : 회로에 전류가 흐른다 -> HIGH(1)
2) 회로 -> GND : 회로에 전류가 '제대로' 흐르지 않는다 -> LOW(0)
3. 흔히 사용하는 4핀 스위치는 마주보는 핀 방향(반대편 핀 방향)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 스위치를 누르면 서로 반대편의 도선과 닿게 된다.
(스위치를 설명해 주는 곳이 없어서 화가 나서 쓰게 된 이유가 큼!!!)
<스위치는 두 개의 독립된 전선이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스위치를 누르면 두 개의 도선이 연결 된다.!!>
풀 업 : 스위치가 떼어 있어도 항상 높은 전위인 전원(Vcc)에 걸려 있음.
-> 스위치를 누르면 회로는 낮은 전위인 GND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1) 풀업저항의 스위치를 떼었을 때
전류방향은 Vcc -> 회로 방향으로 '항상' 흐른다. (HIGH)
<전류는 Vcc -> 회로 순으로 흐른다.>
<회로(아두이노)는 전류를 받아 HIGH상태가 된다.>
2) 풀업저항의 스위치를 눌렀을 때 때
전류방향은 Vcc -> GND로 흐른다. (LOW)
<전류는 Vcc -> GND 순으로 흐른다.>
<회로(아두이노)는 전류를 받지 못하여 LOW상태가 된다.>
풀다운 : 스위치가 떼어 있다면 회로는 항상 낯은 전위인 접지(GND)에 걸려 있음.
-> 스위치를 누르면 회로는 높은 전위인 Vcc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1) 풀다운저항의 스위치를 떼었을 때
전류방향은 회로 -> GND 으로 '항상' 흐른다. (LOW)
<전류는 회로 -> GND 순으로 흐른다.>
<회로(아두이노)는 전류를 받지 못하여 LOW상태가 된다.>
2) 풀다운저항의 스위치를 눌렀을 때
전류방향은 Vcc -> 회로 방향으로 흐른다. (HIGH)
(전류는 저항을 싫어한다. 저항을 피하여 회로 (4번핀)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것
왜냐고 물으신다면... 중3 과학시간 내용을 말씀드려야 합니다... 8ㅅ8)
<전류는 Vcc -> 회로 순으로 흐른다.>
<회로(아두이노)는 전류를 받아 HIGH상태가 된다.>
초간단 정리
풀 업 : 회로를 항상 높은 전위(Vcc)에 걸어 놓는(up) 것
1) 저항을 전원(Vcc)에 연결한다.
2) 스위치를 떼면 전류가 흐르고(HIGH), 누르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LOW)
풀다운 : 회로를 항상 낮은 전위(GND)에 내려 놓는(down) 것.
1) 저항을 접지(GND)에 연결한다.
2) 스위치를 떼면 전류가 흐르지 않고(LOW), 누르면 전류가 흐른다.(HIGH)